부동산

[주택청약]오포자이 디오브 3BL & 4BL 낮은 가점 당첨전략(feat.중복청약 가능)

부동산요약하는남자 2021. 5. 23. 14:38
반응형

안녕하세요 부동산 요약하는 남자 부요남 입니다.

5월 20일 오포자이 디오브 모집공고가 올라왔습니다.

 

이 전 오포센트리체가 당해마감으로 문닫은걸 생각해봤을 때, 오포자이 디오브도 당해마감이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빠르게 필요한 부분만 요약해보겠습니다.

 

1. 신청날짜

 - 특별공급은 5월 31일 (월) 부터 시작입니다. 

 - 1순위(해당) 6월  1일 (화) 부터 시작입니다.

 

2. 1순위 자격

 - 광주시 1년 이상 거주(당해 100%) 

 - 세대주

 - 무주택자/1주택자

 - 과거 5년 이내 다른주택의 당첨 X

 - 청약통장 2년 이상 가입

 

-> 여기서는 광주시 1년 이상 거주 하시는 분들은 무조건 써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3. 당첨자 발표

 - 4BL(4블럭) 6월  9일 (수) 발표

 - 3BL(3블럭) 6월 10일 (목) 발표

-> 당첨발표일이 다르므로 중복청약이 가능합니다. 이 부분이 포인트 오늘의 핵심입니다. 

 

 

4. 저가점자 추첨제 물량

출처: 오포자이 디 오브 모집공고문(축약)

 - 85형 이하에서 가점 75% / 추첨 25% 

 - 85형 이상에서 가점 30% / 추첨 70% 

 

 * 최하층 세대 배정은 고려하지 않음. 3BL(3블럭) 추첨 4BL(4블럭) 추첨
85형 이하 일반분양 229세대 중 57세대 일반분양 217세대 중 54세대
85형 초과 일반분양 17세대 중 11세대 일반분양 23세대 중 16세대

 

->  1순위(당해)에 포함되시는 분들 중에 점수가 낮으신 분들은 잘 선택하셔서 추첨제 물량을 노려봐도 될 것 같습니다.

 

5. 평면정보

 - http://op-xi.co.kr/unit.html 

 

오포자이 디 오브

오포자이 디 오브, 자이와 만나는 지금 AT THE MOMENT

op-xi.co.kr

상기 URL로 들어가시면 바로 볼 수 있습니다.

 

3BL, 74 -A, B 정도가 그래도 다른 부분 보다는 경쟁률이 낮을거라고 예상합니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판상형으로 뽑긴 했지만 주방에서 음식을 할 때 환기 부분에 있어서 조금 애매한 감이 있어 그렇게 생각 했습니다. 69형이나 62형 평면이 차라리 제 생각에는 더 좋아보입니다.

 

4BL, 74 -A,C 다른 부분 보다는 경쟁률이 낮을거라고 예상합니다.

저는 3BL 보다는 4BL이 84형 타입이 굉장히 잘 빠졌다고 봅니다. 해서 점수 높으신 분들이나 84형 아래로는 못간다 하시는 분들이 많이 84로 지원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74가 다른 곳보다 경쟁률이 낮을거라 예상합니다.

 

3BL, 4BL 경쟁률이 낮은 평형으로는 74를 꼽았지만 이유는 조금 다릅니다.

다시한번 더 평형 확인하시고 본인이 원하시는 평형 지원 하시기 바랍니다!

 

https://yh-analysis.tistory.com/9

 

[아파트타입] 판상형과 타워형의 차이는?

안녕하세요 부동산 요약하는 남자 부요남 입니다. 오늘은 판상형과 타워형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빠르게 요약해보겠습니다. 판상형의 장점  1. 대부분 세대가 남향이어서 채광 및 난방 우

yh-analysis.tistory.com

 

 

정리하면,

 - 분양가상한제 미적용, 거주의무 X , 전세가능

 - 전매제한은 소유권이전 등기일까지(이때, 바로 팔았을 때 세금계산 잊지말고하기)

 - 중복청약이 가능(당첨발표일 다름)하기 때문에 잊지말고 3BL, 4BL 원하는 평형에 넣기

 - 추첨이 있기 때문에 저가점자도 전략적으로 잘 이용한다면 가능성이 있음(당해 당첨가능성 높음)

 - 요즘 동탄이 핫해서 다른사람들도 동탄만 중심적으로 보는데 이때, 경기도 광주 노리셔서 시세차익 등 투자적 관점으로 보는 것도 중요. 

 

 

이상입니다.

꼭 내집마련 하시기 바랍니다!!

경기도 광주 거주하시면 꼭 진짜 레알 한번 넣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